대체로 어려웠다는 의견이 많았던 24년 2회 기출문제를 세 그룹으로 나눠보았습니다.
A. 오래전 기출의 부활(2014년~2019년 기출) : 총 48점
1. 정신분석상담의 이상적 목표(16년3회) 6점
2. 건강심리학의 발달배경 3가지(17년3회) 6점
3. 파괴적 행동문제를 보이는 청소년(17년1회) 6점
4. 로샤의 구조적 요약 형태질의 종류 3가지(17년3회) 6점
5. 지능검사의 라포 형성 방법 4가지(18년3회) 4점
6. 특정공포증의 하위유형 3가지(19년1회) 6점
7. 정상적 불안의 특징 3가지(19년1회) 6점
+
18. 사례문제(2014년 기출) 8점
B. 3회 이상 빈출 + 최근기출 : 총 41점
8. 로저스 인간중심 상담에서 강조한 치료자의 태도 3가지 6점
9. 놀이의 치료적 기능/가치 3가지 6점
10. 재활치료의 손상, 핸디캡의 개입방법의 예시 1가지씩 쓰기 4점
+
11. 자기보고형 검사의 장점과 단점 2가지씩(22년1회) 4점
12. 전문가로서의 윤리원칙 6가지 (22년2회) 6점
13. 카우프만-지능검사에 대한 기본철학 5가지(22년1회) 5점
14. 프로차스카 행동변화에 대한 계획 순서 상관없이 5단계(23년3회) 10점
C. 신출문제 : 총 11점
15. TAT검사 문제 4점
16. 저항의 의미와 대처방법 4점
17. 임상면접법 3점
기출을 몇 년치 공부해야 할까?
3년치? 5년치? 빈출만 봐도 될까?
많이들 궁금해합니다.
방대한 분량에 암기할 내용이 많은만큼 전략적 학습이 필요한데요.. 이번 2회 시험은 3년~5년 빈출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걸 보여줍니다. 5년치 기출을 완벽하게 학습한다 하더라도 가장 비중이 높은 <A그룹> 문제를 놓치게 되면 60점 합격선을 넘기 힘들기 때문이지요.
빈출 중심의 1회 시험이 역대급으로 쉬웠던 데 반해 이번 2회 시험은 체감 난이도가 매우 높았던 게 사실입니다. 그룹별 분류에서 보는 것처럼 오래전 문제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에 최근 기출만 학습한 경우 생소한 문제들이 많다고 느꼈을 것입니다. 그러나 찬찬히 살펴보면 대부분 기출 또는 일부변형 문제로, <C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 기출문제 pool에서 출제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시험도 기출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이 정도의 난이도가 유지된다면 앞으로 기출을 얼마나 더 깊게 넓게 학습해야 하는 것인지.. 몇 년치를? 빈출만? 혹은 기출 전부를 공부해야 하는 것인지, 시험을 앞둔 학습자들의 고민이 클 것 같아요.
.
.
10월 시험이 하루하루 다가옵니다.
안정적인 득점을 위해 가급적 10년치 이상 기출을 깊숙이 그리고 꼼꼼하게 학습하실 것을 추천해봅니다.
[크몽전자책] 14년간 실기기출 요약 One-Stop합격노트
2024년 1회, 2회 + 3회 기출 Update!!
블로그 방문자 10% 할인 : 23,000원 ☞ 20,700원
임상심리사2급 실기 전자책 One-Stop 합격노트: 네이버블로그 (naver.com)
크몽 직구입은 회원가입후 여기로 ☞
https://kmong.com/self-marketing/417179/TmEtJwUsPZ
임상심리사2급 실기 기출 One-Stop 합격노트 - 크몽
임상심리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strong>2011년부터 2024년 2회까지 14년간 기출문...
kmong.com